동일인에서 한쪽 다리에만 압박스타킹을 착용했을 때 유발되는다리 근육의 근전도 변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
하지정맥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압박스타킹 착용이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압박스타킹 착용으로 인한 인체의 생리지표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압박스타킹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어떤 생리적 지표가 변화될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압박스타킹 착용으로 인해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생리지표인 혈압, 심전도, 발목상완지수,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압박스타킹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20∼30 mmHg 정도의 압력을 가진 것으로 종아리를 덮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였다. 6명의 20 초반 성...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pp. 185 - 19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하지정맥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압박스타킹 착용이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압박스타킹 착용으로 인한 인체의 생리지표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압박스타킹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어떤 생리적 지표가 변화될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압박스타킹 착용으로 인해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생리지표인 혈압, 심전도, 발목상완지수,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압박스타킹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20∼30 mmHg 정도의 압력을 가진 것으로 종아리를 덮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였다. 6명의 20 초반 성인이 한쪽 다리에만 7일간 착용을 하였고, 실험 기간 중 몸을 씻기 위해 벗는 것을 제외하고는 늘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 직전, 3일째 되는 날, 7일째 되는 날에 혈압, 심전도, 근전도, 발목상완지수의 변화를 압박스타킹을 착용한 다리와 착용하지 않은 다리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착용한 다리의 앞정강이근과 장딴지근에서 근전도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다른 생리지표는 변화가 없었다. 근전도의 증가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압박스타킹을 착용하지 않은 다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근전도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근전도 감소 역시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폭이 커졌다. 즉 이번 실험은 압박스타킹의 착용이 해당 근육의 근전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고, 착용하지 않은 부위에서 의도치 않은 근전도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번 연구에서는 압박스타킹의 장시간 착용에 따른 생리적 변화에 대한 결과를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착용에 따른 위험요소를 알아 볼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Compression stockings are widely used for prevention of varicose vein. Depending on manufacture, there are diverse types of compression stockings available. Most common type of compression stocking might be the one cover calf of a lower leg which has 20~30 mmHg pressure. Despite being widely used, possible side effects that may occur by wearing compression stockings have not been studied much. We analyzed for a long wearing effect of compression stocking. Participants wore the compression stocking over one leg for 7 days. During the period, all the participants did their ordinary works wearing the compression stocking. Electrocardiogram (ECG), ankle-brachial index (ABI), blood pressure (BP), and electromyogram (EMG) were measured at 0 day, 3rd day and 7th day. There was no effect of wearing compression stockings from ECG, ABI or BP. Only EMG that was measured on the covered muscl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wearing time. Interestingly, EMG from the opposite leg that had never been covered by compression stocking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wearing date. These results suggest wearing a compression stocking for varicose vein may cause unintentional increase or decrease of EMG from the wearing or non-wearing legs, respectivel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5324/kjcls.2019.51.2.185 |
ISSN: | 1738-3544 2288-1662 |
DOI: | 10.15324/kjcls.2019.51.2.1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