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mphylium lycopersici에 의한 고려엉겅퀴 점무늬병의 발생
2015년 8월경 강원도 영월군의 고려엉겅퀴 재배 농가에서 잎에 소형 점무늬 증상이 발생하였다. 초기에는 고려엉겅퀴 잎에 회갈색 내지 갈색의 작은 점이 나타나며, 병이 진전되면 부정형의 진한 갈색의 병반으로 커지면서 크게 확대되고 결국 잎 전체가 진한 갈색 내지 흑색으로 변하였다. 병든 잎에서 Stemphylium균이 분리되었으며, 분생포자 크기와 분생포자경의 길이 등을 고려한 균학적 특성에 의해 Stemphylium lycopersici 혹은 Stemphylium solani, Stemphylium xanthosomatis와 유사...
Saved in:
Published in: | Hangug gynnhaghoi ji Vol. 44; no. 3; pp. 201 - 205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균학회
30-09-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2015년 8월경 강원도 영월군의 고려엉겅퀴 재배 농가에서 잎에 소형 점무늬 증상이 발생하였다. 초기에는 고려엉겅퀴 잎에 회갈색 내지 갈색의 작은 점이 나타나며, 병이 진전되면 부정형의 진한 갈색의 병반으로 커지면서 크게 확대되고 결국 잎 전체가 진한 갈색 내지 흑색으로 변하였다. 병든 잎에서 Stemphylium균이 분리되었으며, 분생포자 크기와 분생포자경의 길이 등을 고려한 균학적 특성에 의해 Stemphylium lycopersici 혹은 Stemphylium solani, Stemphylium xanthosomatis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 elongation factor 1alpha (EF-1α), glyceraldehydes-3-phosphate dehydrogenase (gpd), vacuolar membrane ATPase catalytic subunit A gene (vmaA)와 vacuolar biogenesis gene (vpsA) 사이의 noncoding 영역을 대상으로 한 다자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분리균은 모두 S. lycopersici로 확인되었다. 고려엉겅퀴잎을 대상으로 상처구와 무상처구로 나누어 분리균의 포자현탁액을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접종 3일 후부터 상처의 유무에 관계없이 분리균을 접종한 부위에서 병반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를 토대로 본 병을 S. lycopersici에 의한 고려엉겅퀴 점무늬병으로 명명하며, 고려엉겅퀴점무늬병의 발생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In August 2015,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on Korean gondre thistle (Cirsium setidens) in Youngwol, Korea. During the early stage, the symptoms appeared as one or more small gray-brown to brown spots on plant leaves. The spots showed extensive enlargement over time and eventually became large dark brown to black lesions on the whole leaf. Stemphylium species were consistently isolated from affected leaves.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 lycopersici, S. solani, or S. xanthosomatis based on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were confirmed as S. lycopersici based on a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using the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elongation factor 1,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and the noncoding region between the vacuolar membrane ATPase catalytic subunit A gene and a gene involved in vacuolar biogenesis. Pathogenicity was tested by spore suspension inoculation on wounded or unwounded gondre leaves. The lesions were observed on inoculated leaves within 3 days after inoculation, regardless of woun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leaf spot on gondre thistle caused by S. lycopersici in Korea or elsewhere.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KISTI1.1003/JNL.JAKO201630932412683 |
ISSN: | 0253-651X 2383-5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