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부딘 초치료 후의 재발 양상과 재치료 효과

목적 :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라미부딘은 효과적이지만 서양의 보고와 달리 국내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라미부딘 치료 종료 후의 재발 양상이나 재발군에서 라미부딘의 재투여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양상과 재발군에서 라미부딘 재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질환으로 진단 받고 라미부딘을 치료받은 환자 중 치료에 반응한 후 투약을 중지한 121명 중에서 재발한 42명(만성간염 36예, 대상성 간경변 6예)을 대상으로 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Vol. 9; no. 3; pp. 188 - 197
Main Authors: 박종호, Park Jong Ho, 박능화, Park Neung Hwa, 신정우, Sin Jeong U, 방성조, Bang Seong Jo, 김대현, Kim Dae Hyeon, 주광로, Ju Gwang Lo, 김도하, Kim Do 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간학회 01-09-200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목적 :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라미부딘은 효과적이지만 서양의 보고와 달리 국내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라미부딘 치료 종료 후의 재발 양상이나 재발군에서 라미부딘의 재투여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양상과 재발군에서 라미부딘 재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질환으로 진단 받고 라미부딘을 치료받은 환자 중 치료에 반응한 후 투약을 중지한 121명 중에서 재발한 42명(만성간염 36예, 대상성 간경변 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라미부딘은 1일 100mg씩 6개월(평균 16개월, 범위: 6-35개월) 이상 투여하였다. 평균 연령은 39.7에였고 남녀 비는 35:7이었다. 재치료 전 혈청 ALT 평균치는 437 IU/L, AST 평균치는 227 IU/L, HBV DNA 평균치는 519pg/mL였다. 치료반응군에서는 치료 반응이 있은 뒤 추가로 라미부딘을 투여하여 적어도 2개월 이상 반응이 유지된 후 투약을 중지하고 재발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HBeAg이 혈청전환된 192예 중 121예(63%)에서 투여를 중단하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8.9개월(범위: 1-40개월)이었다. 66명(54.5%)에서 재발하였으며 평균 재발 시기는 5.7개월(범위: 1-33개월)이었다. 50예(75.8%)에서는 HBeAg 양성 만성 간질환으로, 16예(24.2%)는 HBeAg 음성 만성 간질환으로 재발하였다. 누적 재발률은 1개월 후 6%, 3개월 후 27%, 6개월 후 47%, 12개월 후 60%, 18개월 후 64%, 24개월 후 66%이었다. 재발과 관련된 예측 인자로는 연령, 치료 전 정량적 HBeAg치, HBV DNA치가 의미 있는 인자였으며 30세 이하의 25명 중 5명만이 재발하였다. 재발한 66명 중에서 혈청 ALT치가 지속적으로 상승된 42예(64%)에서 라미부딘을 재투여 하였다. 31예(73.8%)에서 반응이 있었으며 누적 치료 반응률은 6개월 62%, 9개월 69%, 12개월 72%였다. Breakthrough는 6예(14.3%)에서 일어났으며 전부 HBeAg 양성 만성 간질환 환자였다. 적어도 2개월 이상 치료반응이 유지된 21예에서 투여를 중지하였으며 이중 11예(52.4%)에서 재발하였다. 재치료한 HBeAg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치료반응률, breakthrough률, 재발률 등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라미부딘 투여기간(p=0.003)이 유의하였으며 breakthrough와 관련된 인자는 없었다. 결론: 라미부딘 초치료 후 재발률은 높았으며 재바 형태는 HBeAg 양성뿐만 아니라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질환의 형태로도 나타났다. 라미부딘 재치료는 초치료보다는 높은 치료 반응률을 보였으나 breakthrough률과 재발률은 초치료와 비슷하였다. Background/Aims: The post-treatment relapse patterns and efficacy of lamivudine re-treatment for relapsed patients have not been clarifi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pse patterns after discontinuing therapy and the effects of lamivudine re-treatment for relapsed patients after HBeAg seroconversion. Methods: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HBeAg seroconversion in 121 patients. Sixty-six patients were relapsed and included in this study. The duration of lamivudine re-treatment therapy was from 6-35 (mean: 16) months. Post-retreatment monitoring continued for 1-40 (mean: 8,9) months. Results: Among the relapsed 66 patients, 50 (75.8%) had HBeAg reappearance while 16 (24.2%) remained HBeAg negative and anti-HBe positive, The cumulative relapse rates at 3, 6, 12 and 24 months were 27%, 47%, 60% and 66%, respectively, Forty-two relapsers received lamivudine re-treatment, Among them, 33 were HBeAg positive and 9 were HBeAg negative and anti-HBe positive, Response was achieved in 31 of the 42 patients (73.8%). The cumulative response rates at 6, 9 and 12 months were 62%, 69% and 72%, respectively. Six patients (14.3%) developed viral breakthrough, All patients were HBeAg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The duration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the only predictable factor for response of lamivudine re-treatment.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response in 21 patients, Eleven patients were relapsed, including 6 who were HBeAg positive and 5 who were HBeAg negative. Predictive factors for post-retreatment relapse were age and the duration of additional lamivudine therapy after response, Conclusions: The response rate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initial lamivudine treatments. The response rate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initial lamivudine treatments. The breakthrough and relapse rates, however, were similar in both initial and retreated lamivudine therapy.(Korean J Hepatol 2003;9:188-197)
Bibliography: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G704-001530.2003.9.2003.015
ISSN:2287-2728
2287-28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