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의 다양한 발정 행동 징후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

본 연구는 젖소의 발정 행동 징후에 따라 배란 시간을 예측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발정의 다양한 행동 징후(승가, 승가 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시된 51두 중 37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28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발정 행동 징후는 PGF2α 주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새와 턱비빔은 81%와 78%를 보였으며, 승가는 78% 승가 허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biotechnology (Online) pp. 9 - 13
Main Authors: 손준규, 박수봉, 박성재, 백광수, 안병석, 김현섭, 황석주, 주종철, 박춘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31-03-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젖소의 발정 행동 징후에 따라 배란 시간을 예측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발정의 다양한 행동 징후(승가, 승가 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시된 51두 중 37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28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발정 행동 징후는 PGF2α 주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새와 턱비빔은 81%와 78%를 보였으며, 승가는 78% 승가 허용은 56%를 보였다. 발정 행동 징후별 발정 개시와 종료의 배란 시간까지의 간격 분포는 발정 개시 후 배란까지는 배란 전 7~37시간(평균 25.58±7.94 시간) 사이였으며, 발정 종료 후 배란까지는 배란 전 1~28시간(평균 13.42±7.14 시간) 사이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개시 후 배란까지의 시간에서 승가 허용(17.33±5.83 시간)이 승가(23.58±5.12 시간), 외음부 냄새 맡기(24.25±6.09 시간), 턱비빔(23.42±6.04 시간)보다 유의적으로(p<0.05) 짧게 나타났다. 또한 발정 행동별 배란 전 발정 개시에서 승가, 승가 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은 12시간 간격 안에서 16~28시간(88%), 10~22시간(81%), 16~28시간(79%) 및 19~31시간(79%) 사이에서 각각 개시하였다. 외음부 냄새 맡기와 턱비빔 행동은 발정 단계가 아닐 때도 보이는 행동이기 때문에 배란 시간을 예측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승가 허용와 승가 행위는 배란 시간을 예측하는데 좋은 지표이지만, 승가 허용은 승가를 허용하는 개체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배란 시간을 예측하는데 다소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승가 행위로 배란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훌륭한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strous behavior and ovulation time, and to determine which estrous behavior could predict ovulation time more accurately. In total, 37 ovulations and 28 estrous detection were observed in 51 Holstein-Friesian dairy cows. Various estrous behavior were observed during 72 h from two days after PGF2α injection and their relation with the time of ovulation (ultrasound examinations at 4-h intervals) was investigated. In estrous periods, the rate of sniffing, chin resting, mounting, standing heat was 81%, 78%, 78% and 56%, respectively. Ovulation occurred 25.6±7.9 h after onset of estrus (ranging between 7 and 37 h) and 13.4±7.1 h after end of estrus (ranging between 1 and 28 h). Interval between onset of estrus and ovulation time was significantly (p<0.05) shorter for standing heat (17.33±5.83 h) than for mounting, sniffing and chin resting (23.58±5.12 h, 24.25±6.09 h, 23.42±6.04 h). In 88% of the animals that displayed mounting, ovulation occurred between 16~28 h after onset of mounting. Onset of standing heat, sniffing and chin resting occurred between 10~22 (81%) h, 16~28 (79%) h and 19~31 (79%) h before ovulation respectively. Sniffing and chin resting were displayed during the non-estrous period and are therefore, not useful predictors of ovulation time. The standing heat and mounting can be a good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but the disadvantage of using standing heat is that only a limited number of cows display standing heat. Thus, it is concluded that mounting behavior could be the best predictor for time of ovulation.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1405.2007.22.1.005
ISSN:2671-4639
2671-4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