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Findings of Juvenile Xanthogranuloma of the Spinal Cord: A Case Report

연소성황색육아종(Juvenile xanthogranuloma; 이하 JXG)은 유소년기에 발생하는 조직구 증식성 질환이다. JXG는 주로 단독 피부병변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소성”이라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성인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JXG가 피부 이외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성인에게서 척수에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67세 여성에서 척수에 발생한 경수막내-수외의 종양을 발견하였다. 이 병변은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으며, 이 환자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의 증례를 보고한다.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1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p. 251 - 255
Main Authors: 김세영, 박해원, 박희진, 이소연, 정은철, 국신호, 구지혜, 류명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대한영상의학회 01-03-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Description
Summary:연소성황색육아종(Juvenile xanthogranuloma; 이하 JXG)은 유소년기에 발생하는 조직구 증식성 질환이다. JXG는 주로 단독 피부병변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소성”이라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성인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JXG가 피부 이외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성인에게서 척수에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67세 여성에서 척수에 발생한 경수막내-수외의 종양을 발견하였다. 이 병변은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으며, 이 환자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의 증례를 보고한다.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1번 요추 높이에서 경계가 분명한 타원형의 경수막내-수외의 종양을 볼 수 있었으며, 이 종양은 T1 강조영상에서 혼합된 신호강도를 보였고,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조영증강시에는 종양 중앙부분에서 균질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Juvenile xanthogranuloma (JXG) is a proliferative histiocytic disorder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ts. JXG commonly presents as a solitary cutaneous lesion. Despite the term “juvenile”, development of the disease during adulthood is possible, although spinal JXG is extremely rare in adults. We describe a 67-year-ol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an intradural-extramedullary (IDEM) tumor of the spinal cor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indicative of JXG of the spinal cord were seen, which was then confirmed pathologically. A lumbar spinal MRI with contrast enhancement showed an oval-shaped, well-defined IDEM tumor at the L1 level. This tumor had mixed signal intensity on the T1-weighted image and high signal intensity on the T2-weighted image. Central homogenous enhancement was observed after contrast administra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499.2013.68.3.010
ISSN:2951-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