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수 개시점 처리가 시설 재배 오이 생육과 물 이용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은 시설 토양에서 생육 단계별로 관수 개시점을 달리하여 오이의 생육과 수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수행하였다. 실험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소재 플라스틱 연동 온실에서 2020년 4월 20일 오이(Cucumis sativus L.) 다다기계통 ‘청춘’접목묘(대목: ‘하나짱토좌’)를 정식하여 7월 5일까지 재배하였다. 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토양 관수 개시점을 생육기-수확성기-수확후기 3단계로 나누어 처리 1은 10-10-10kPa(T1), 처리 2는 10-10-20kPa(T2), 처리 3은 20-10-10kPa(T3)...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39; no. 2; pp. 232 - 242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04-2021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Summary: | 본 실험은 시설 토양에서 생육 단계별로 관수 개시점을 달리하여 오이의 생육과 수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수행하였다. 실험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소재 플라스틱 연동 온실에서 2020년 4월 20일 오이(Cucumis sativus L.) 다다기계통 ‘청춘’접목묘(대목: ‘하나짱토좌’)를 정식하여 7월 5일까지 재배하였다. 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토양 관수 개시점을 생육기-수확성기-수확후기 3단계로 나누어 처리 1은 10-10-10kPa(T1), 처리 2는 10-10-20kPa(T2), 처리 3은 20-10-10kPa(T3), 처리 4는 20-10-20kPa(T4) 및 관행 대조구 Control의 총 5 처리하였다. 총 관수량, 생육, 수량 및 수분이용효율을측정하였다. 일평균 토양 수분장력이 T1은 8.3kPa, T2는 9.2kPa, T3는 10.7kPa, T4는 10.2kPa였으며, Control은 5.9kPa이였다. 공급된 주당 총 관수량은 53,322mL(T1)–59,206mL(T4)으로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일평균 관수량은 T1은 773mL,T2는 787mL, T3는 780mL, T4는 858mL였으며, 총 관수 횟수는 99회(T1), 92회(T2), 86회(T3), 93회(T4)였으며, 관수 간격도 0.7일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Control 처리는 일평균 관수량 1,525mL, 총 관수 횟수 50회로 평균 관수량이 처리구에 비해2배 이상 많았고, 관수 횟수는 40% 이상 감소하였다. 처리 43일째 오이 초장, 마디수, 엽폭, 엽수는 Control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T3, T4 처리는 초장이 가장 낮았고, 엽록소 함량(SPAD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품 과수와 수량은 T2 처리에서가장 높았으며, 수확 시기에 따라 처리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1L 관수량에 생산된 오이의 수분이용효율(g·L-1)은 T2(45.1g)> T1(33.5g), T3(31.9g) > T4(28.9g) > Control(23.7g)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 4월 정식 5월 수확하는 봄 재배 작형에서 오이의 관수 개시점은 10(생육기) -10(수확성기)- 20(수확후기)kPa가 적합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oil irrigation starting point on thegrowth and water use efficiency of cucumber at each growth stage in a greenhouse. Cucumber (Cucumissativus L.) ‘Chungchun’ grafting seedlings were transplanted on April 20, 2020 and cultivated untilJuly 5, 2020 in a polyethylene greenhouse in Chuncheon-si, Gangwon-do. Soil irrigation startingpoint using a tensiometer were treated in 10-10-10 (T1), 10-10-20 (T2), 20-10-10 (T3), 20-10-20(T4), and a control. The total amounts of irrigation, growth, yield and water use efficiency weremeasured. The average daily soil water tension (kPa) was 8.3 for T1, 9.2 for T2, 10.7 for T3, 10.2 forT4, and 5.9 for the control. The total amount of irrigation supplied was from 53,322 mL (T1) to59,206 mL (T4),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 average daily irrigation amountper plant was 773 mL (T1), 787 mL (T2), 780 mL (T3), and 858 mL (T4). The total number andintervals of the irrigations were not different from 86 times (T3) to 99 times (T1) and 0.7days. In thecontrol, the daily average amount of irrigation was 1,525 mL, and the total number of irrigationswas 50. In the control, the average amount of irrigation was twice that of the treatments (T1, T2, T3,and T4), and the number of irrigations was reduced by more than 40%. On the 43rd day oftreatment, plant height, number of nodes, leaf width, and number of leaves were highest in thecontrol, and the lowest plant height was in T3 and T4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 Marketable number of fruit and yields was highest in the T2 treatment, and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harvest time. The water use efficiency (g·L-1) of cucumbers produced in 1L irrigationwas T2 (45.1g) > T1 (33.5g), T3 (31.9g) > T4 (28.9g) > control (23.7g). These results indicate 10 (growing period)- 10(harvesting period)- 20kPa (late harvesting period) as a suitable starting point of soil irrigation tension for cucumbers inspring cultiva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7235/HORT.20210021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210021 |